손드하임은 뮤지컬신
얼마 전부터, 그러니까 내가 예비 대학원맨의 길에 발을 올렸을 때부터 계속 듣게 된 질문이 하나 있다. 왜 하필 실러냐는 거다.이 질문은 '실러가 왜 좋아요?' / '실러의 뭐가 그렇게 좋아요?' / '실러의 뭘 하고 싶어요?' 등의 바리에이션을 가진다. 그리고 지금까지 단 한번도 이 질문에 명쾌하고 속뚫리는 답변을 해주지 못했다. 항상 "아....ㅎㅎ" 아니면 "그러게요..ㅎㅎ" 라며 얼버무려주기만 했다. 그니까 그 이유를 나도 잘 모른다는 거겠지. 이유가 있어서 좋아하면 존경이랬고 이유가 없는데 좋아하면 사랑이랬다. ㅋㅋㅋ 나는 실러를 사랑하고 있는건데!! 이거는 200년을 뛰어넘은 참사랑인데!! 내가 이 사랑에 변명을 붙여줘야 할까?! 당연하지. 누가 사랑으로 논문을 써요. 이쯤되자 저 질문에 복사..
연출: 울리히 라셰 서정시를 쓰기 어려운 시대. 실러가 를 완성했던 1803년에도, 아니 아마 인간의 미적교육에 대한 편지를 쓰던 1790년 중반에도 이미 근대의 징후들은 도시를 떠돌고 있었다. 실러는 말년에 아픈 몸으로 이사를 하겠답시고 베를린을 며칠간 돌아보았던 것 외에는 평생동안 소도시에 머물렀던 사람이지만 그의 시각만은 저 멀리까지도 예리하게 관찰할 수 있었나 보다. 기계처럼 돌아가는 (국가라는) 톱니바퀴 사이에 끼어 분열하는 인간이 그의 시대를 살아가는, 그리고 그 미래의 시대를 살아갈 인간에 대한 실러의 이해였다. 서정시를 쓰기 어려운 시대. 브레히트가 그 시의 제목을 이렇게 써먹으라고 붙여둔 건 아닐 테지만 여튼간 실러가 본 그의 시대도 서정시를 쓰기 어려운 시대였다. 실러는 그래서 고대 그..
2018 6월 30일 공연 지휘: 토마스 뢰스너 연출: 기 요스텐 출연: 바네사 고이코에체아(한나), 안갑성(다닐로), 나유창(제타), 김순영(발렌시엔), 허영훈(카미유) 아.. 괴롭다... ------------------------------------------------------------ 몇 주를 "아 괴롭다" 한 마디 남겨둔 채 후기 없이 뒀다. 그냥 그렇게 두고 모르는 척 할까 싶었지만 그건 국오에 너무 부당한(???) 것 같아서 딱 두 마디만 얹으려고 한다. 1. 100년 전 사람인 레하르는 여자도 man처럼 생각할 수 있다는 걸 몰랐을 수도 있다. 그건 그냥 응, 그래. 멍청했구나. 하고 넘어가면 된다. 그런데 2018년에도 그러면 안되지 않을까? 화성에서 온 남자, 금성에서 온 여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