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드하임은 뮤지컬신
석사 졸업하고 그저 한국에서 정체된 채 시간을 낭비하며 보내고 있는것 같은 기분이 심하게 들어서, 지난 한 해를 돌아보며 조교일이랑 각종 잡무 짬처리 외에 내 앞길을 위해서 뭘 하며 살았는지 스스로 설득해주고 싶어 쓰는 포스팅. 그러다가 저와 비슷한 처지에 계신 분이 이 글을 보고 작은 도움이나마 받으실 수 있다면 좋고요. 박사과정 유학을 준비하며 거쳤던 - 그리고 지금도 거치고 있는 과정을 정리합니다. 이딴 포스팅 써놨는데 예상치 못하게 독일 지도교수님께 차여서 낙동강 오리알 되면 쪽팔리니까 서면으로 지도승낙확인서 받고 줌으로 면담까지 한 다음에야 업로드 한다. ㅋㅋㅋㅋ 솔직히 확인 받은 지금도 차일까봐 불안함... 날... 버리지 말아요. 우선 저는 2021년 여름에 석사를 졸업하고, 바로 다음 학기..
어쩌다보니 연달아 두 명 인터뷰를 번역하는데 둘 다 의도적으로 지 연극텍스트 제목에 대문자 안 쓰는 사람들이다. 일종의 정치적 입장표명인데 솔직히 미안한 말이지만 굳이 이런 식으로..? 싶기는 함... 그리고 팔메츠호퍼는 또 요즘은 잘만 대문자로 씀. 에발트 팔메츠호퍼는 1978년생 오스트리아 작가로, 이제 벌써 많이 알려져 더이상 !젊은! 작가 축에는 못 끼는 듯 하다. 그래도 새로운 세대의 독일 드라마에 포함되는 대표 작가고, 신학-철학적 베이스 위에서 움직이는 사람이라서 다른 현독드 작가들보다 연구논문의 대상이 되는 빈도가 꽤 많다. 한국에도 소개되면 좋겠지만 번역하기 결코 쉽지 않은 언어로 글을 써서 과연 누가 번역을 해줄지... 근데 옐리넥도 누군가는 번역을 해주는데 팔메츠호퍼도 언젠간 누군가 ..
토마스 쾩 Thomas Köck은 최근 몇 년간 독일어권에서 크게 주목받아 온 젊은 극작가 중 하나다. 그는 2016년 을 시작으로 2017년 , 2018년 를 잇따라 초연하며 '기후 삼부작 Klimatrilogie'을 발표했다. 그 첫 번째 텍스트인 는 1890년대 브라질 마나우스의 고무 열풍 이야기(헤어초크의 영화 를 모티브로 함)를 한 축으로, 1990-2000년대의 유럽 백인 중산층 가정의 이야기를 다른 한 축으로 삼아 자본주의의 초기 형태와 아주 일상화된 현대 자본주의의 형태를 독특하게 엮어낸다. 이로써 현재 인류가 마주한 기후위기의 중심 요인으로 자본주의가 지목되지만, 일방적이고 직접적인 비판은 아니다. 이 텍스트에서는 중심을 이루는 두 축 사이에 지난 수십 년의 서구문명의 역사가 매우 압축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