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드하임은 뮤지컬신

[후반부] 쉴러, <도덕적 기관으로 고찰한 연극무대> (1784/85) 번역 본문

어디가서 말하면 안되는 것들/번역

[후반부] 쉴러, <도덕적 기관으로 고찰한 연극무대> (1784/85) 번역

허튼 2022. 11. 7. 12:36
더보기

[이전 포스팅과 이어짐]

 

  So groß und vielfach ist das Verdienst der bessern Bühne um die sittliche Bildung; kein geringeres gebührt ihr um die ganze Aufklärung des Verstandes. Eben hier in dieser höhern Sphäre weiß der große Kopf, der feurige Patriot sie erst ganz zu gebrauchen.

  Er wirft einen Blick durch das Menschengeschlecht, vergleicht Völker mit Völkern, Jahrhunderte mit Jahrhunderten und findet, wie sklavisch die größere Masse des Volks an Ketten des Vorurtheils und der Meinung gefangen liegt, die seiner Glückseligkeit ewig entgegenarbeiten – daß die reinern Strahlen der Wahrheit nur wenige einzelne Köpfe beleuchten, welche den kleinen Gewinn vielleicht mit dem Aufwand eines ganzen Lebens erkauften. Wodurch kann der weise Gesetzgeber die Nation derselben theilhaftig machen?

  Die Schaubühne ist der gemeinschaftliche Kanal, in welchen von dem denkenden, bessern Theile des Volks das Licht der Weisheit herunterströmt und von da aus in milderen Strahlen durch den ganzen Staat sich verbreitet. Richtigere Begriffe, geläuterte Grundsätze, reinere Gefühle fließen von hier durch alle Adern des Volks; der Nebel der Barbarei, des finstern Aberglaubens verschwindet, die Nacht weicht dem siegenden Licht. Unter so vielen herrlichen Früchten der bessern Bühne will ich nur zwei auszeichnen. Wie allgemein ist nur seit wenigen Jahren die Duldung der Religionen und Sekten geworden? – Noch ehe uns Nathan der Jude und Saladin der Saracene beschämten und die göttliche Lehre uns predigten, daß Ergebenheit in Gott von unserm Wähnen über Gott so gar nicht abhängig sei – ehe noch Joseph der Zweite die fürchterliche Hyder des frommen Hasses bekämpfte, pflanzte die Schaubühne Menschlichkeit und Sanftmuth in unser Herz, die abscheulichen Gemälde heidnischer Pfaffenwuth lehrten uns Religionshaß vermeiden – in diesem schrecklichen Spiegel wusch das Christenthum seine Flecken ab. Mit eben so glücklichem Erfolge würden sich von der Schaubühne Irrthümer der Erziehung bekämpfen lassen; das Stück ist noch zu hoffen, Wo dieses merkwürdige Thema behandelt wird. Keine Angelegenheit ist dem Staat durch ihre Folgen so wichtig als diese, und doch ist keine so preisgegeben, keine dem Wahne, dem Leichtsinn des Bürgers so uneingeschränkt anvertraut, wie es diese ist. Nur die Schaubühne könnte die unglücklichen Schlachtopfer vernachlässigter Erziehung in rührenden, erschütternden Gemälden an ihm vorüberführen; hier könnten unsre Väter eigensinnigen Maximen entsagen, unsre Mütter vernünftiger lieben lernen. Falsche Begriffe führen das beste Herz des Erziehers irre; desto schlimmer, wenn sie sich noch mit Methode brüsten und den zarten Schößling in Philanthropinen und Gewächshäusern systematisch zu Grunde richten.

  Nicht weniger ließen sich – verstünden es die Oberhäupter und Vormünder des Staats – von der Schaubühne aus die Meinungen der Nation über Regierung und Regenten zurechtweisen. Die gesetzgebende Macht spräche hier durch fremde Symbole zu dem Unterthan, verantwortete sich gegen seine Klagen, noch ehe sie laut werden, und bestäche seine Zweifelsucht, ohne es zu scheinen. Sogar Industrie und Erfindungsgeist könnten und würden vor dem Schauplatz Feuer fangen, wenn die Dichter es der Mühe werth hielten, Patrioten zu sein, und der Staat sich herablassen wollte, sie zu hören.

  Unmöglich kann ich hier den großen Einfluß übergehen, den eine gute stehende Bühne auf den Geist der Nation haben würde. Nationalgeist eines Volks nenne ich die Aehnlichkeit und Uebereinstimmung seiner Meinungen und Neigungen bei Gegenständen, worüber eine andere Nation anders meint und empfindet. Nur der Schaubühne ist es möglich, diese Uebereinstimmung in einem hohen Grad zu bewirken, weil sie das ganze Gebiet des menschlichen Wissens durchwandert, alle Situationen des Lebens erschöpft und in alle Winkel des Herzens hinunter leuchtet; weil sie alle Stände und Klassen in sich vereinigt und den gebahntesten Weg zum Verstand und zum Herzen hat. Wenn in allen unsern Stücken ein Hauptzug herrschte, wenn unsre Dichter unter sich einige werden und einen festen Bund zu diesem Endzweck errichten wollten – wenn strenge Auswahl ihre Arbeiten leitete, ihr Pinsel nur Volksgegenständen sich weihte, – mit einem Wort, wenn wir es erlebten, eine Nationalbühne zu haben, so würden wir auch eine Nation. Was kettete Griechenland so fest aneinander? Was zog das Volk so unwiderstehlich nach seiner Bühne? – Nichts anders als der vaterländische Inhalt der Stücke, der griechische Geist, das große überwältigende Interesse, des Staats, der besseren Menschheit, das in denselbigen athmete.

  Noch ein Verdienst hat die Bühne – ein Verdienst, das ich jetzt um so lieber in Anschlag bringe, weil ich vermuthe, daß ihr Rechtshandel mit ihren Verfolgern ohnehin schon gewonnen sein wird. Was bis hieher zu beweisen unternommen worden, daß sie auf Sitten und Aufklärung wesentlich wirke, war zweifelhaft – daß sie unter allen Erfindungen des Luxus und allen Anstalten zur gesellschaftlichen Ergötzlichkeit den Vorzug verdiene, haben selbst ihre Feinde gestanden. Aber was sie hier leistet, ist wichtiger, als man gewohnt ist zu glauben.

  Die menschliche Natur erträgt es nicht, ununterbrochen und ewig auf der Folter der Geschäfte zu liegen, die Reize der Sinne sterben mit ihrer Befriedigung. Der Mensch, überladen von thierischem Genuß, der langen Anstrengung müde, vom ewigen Triebe nach Thätigkeit gequält, dürstet nach bessern auserlesenern Vergnügungen, oder stürzt zügellos in wilde Zerstreuungen, die seinen Hinfall beschleunigen und die Ruhe der Gesellschaft zerstören. Bacchantische Freuden, verderbliches Spiel, tausend Rasereien, die der Müßiggang ausheckt, sind unvermeidlich, wenn der Gesetzgeber diesen Hang des Volks nicht zu lenken weiß. Der Mann von Geschäften ist in Gefahr, ein Leben, das er dem Staat so großmüthig hinopferte, mit dem unseligen Spleen abzubüßen – der Gelehrte zum dumpfen Pedanten herabzusinken – der Pöbel zum Thier. Die Schaubühne ist die Stiftung, wo sich Vergnügen mit Unterricht, Ruhe mit Anstrengung, Kurzweil mit Bildung gattet, wo keine Kraft der Seele zum Nachtheil der andern gespannt, kein Vergnügen auf Unkosten des Ganzen genossen wird. Wenn Gram an dem Herzen nagt, wenn trübe Laune unsere einsamen Stunden vergiftet, wenn uns Welt und Geschäfte anekeln, wenn tausend Lasten unsre Seele drücken und unsre Reizbarkeit unter Arbeiten des Berufs zu ersticken droht, so empfängt uns die Bühne – in dieser künstlichen Welt träumen wir die wirkliche hinweg, wir werden uns selbst wieder gegeben, unsre Empfindung erwacht, heilsame Leidenschaften erschüttern unsre schlummernde Natur und treiben das Blut in frischeren Wallungen. Der Unglückliche weint hier mit fremdem Kummer seinen eignen aus – der Glückliche wird nüchtern und der Sichere besorgt. Der empfindsame Weichling härtet sich zum Manne, der rohe Unmensch fängt hier zum erstenmal zu empfinden an. Und dann endlich – welch ein Triumph für dich, Natur! – so oft zu Boden getretene, so oft wieder auferstehende Natur! – wenn Menschen aus allen Kreisen und Zonen und Ständen, abgeworfen jede Fessel der Künstelei und der Mode, herausgerissen aus jedem Drange des Schicksals, durch eine allwebende Sympathie verbrüdert, in ein Geschlecht wieder aufgelöst, ihrer selbst und der Welt vergessen und ihrem himmlischen Ursprung sich nähern. Jeder Einzelne genießt die Entzückungen aller, die verstärkt und verschönert aus hundert Augen auf ihn zurückfallen, und seine Brust gibt jetzt nur einer Empfindung Raum – es ist diese: ein Mensch zu sein.

 

[이전 포스팅과 이어짐 (https://youlamb.tistory.com/217)]

 

  윤리적 교양을 위한 더 나은 무대의 공로는 이 정도로 크고 다양하다; 오성의 완전한 계몽을 위한 무대의 공적은 결코 적지 않다. 바로 이런 높은 영역에서 위대한 정신, 열렬한 애국자는 무대를 완전히 활용할 줄 안다.

  그는 인간이라는 종에 시선을 돌려서 국민들과 다른 국민들, 한 세기들과 다른 세기들을 비교하고 국민 대부분이 얼마나 노예처럼 자신의 행복을 저지하는 편견과 평가의 사슬에 매여 있는지 알게 되며 – 조그마한 성과를 얻기 위해 어쩌면 인생 전부를 소모해버리는 아주 적은 몇몇 사람의 머리 위에만 진리의 순수한 광휘가 빛을 비춘다는 것을 알게 된다. 이런 사람들을 국가 공동체에 참여하도록 만들기 위해 현명한 입법자는 어떻게 해야 하겠는가?

  연극무대는 국민들 중 사유하는 자들, 더 나은 자들로부터 흘러나온 지혜의 빛을 부드러운 광휘로 바꾸어 전체 국가로 퍼트리는 공동체의 소통창구이다. 더 올바른 개념들, 세련된 원칙들, 더 순수한 감정들이 이곳에서부터 모든 국민의 핏줄을 타고 흘러들어간다; 야만성의 안개와 미신의 어둠은 사라지고, 승리하는 빛이 밤을 서서히 지워나간다. 더 나은 연극이 주는 이 많은 찬란한 유익함 중 나는 오직 두 가지만을 강조해보고자 한다. 최근 몇 년간 종교와 각종 종파들에 대한 관용이 얼마나 보편화되었던가? - 유대인 나탄이나 사라센 족의 살라딘이 우리를 부끄럽게 만들고 신에 귀의하는 것이 신에 대한 우리의 공상과는 완전히 독립적이라는 신성한 가르침을 가르쳐주기 이전에 – 요제프 2세가 신앙적 증오라는 이름의 무시무시한 히드라와 싸우기 이전에 이미 연극무대는 우리의 가슴 안에 인간성과 온화함을 심어두었다. 이교도적인 광기의 혐오스러운 그림들은 우리로 하여금 종교 문제로 일어나는 증오를 피하도록 가르쳤고 – 이러한 끔찍한 거울을 통해 그리스도교는 자신의 얼룩을 지워낼 수 있었다. 이렇듯 훌륭한 성과를 통해 연극무대는 교육의 오류들과 투쟁할 수 있다; 이런 주목할 만 한 주제들이 다루어지는 작품들에는 여전히 희망이 있다. 국가에게는 그 어떤 중대사보다도 전체 과정에서 교육만큼 중요한 것이 없지만, 교육만큼 이렇게까지 방임되어왔던 것도 없으며, 시민의 광기와 경솔함에 이렇게까지 제약 없이 내맡겨졌던 것도 없다. 오직 연극무대만이 지금까지 등한시되어 불행하게 희생된 교육을, 시민에 대한 감동적이고 마음을 울리는 묘사로 전환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연극무대에서라면 우리의 아버지들은 제멋대로 세운 원칙을 단념할지도 모르며, 우리의 어머니들은 보다 이성적으로 사랑하는 법을 배우게 될지도 모른다. 잘못된 개념들은 최고의 교육자의 마음을 혼란스럽게 만들지만; 교육자가 오직 교육방식만을 뽐내며 온실 속에서 개개인에 대한 사랑과 함께 연약한 새싹들을 체계적으로 죽여버린다면 이는 더 나쁜 일이다.

  만일 국가의 지배자나 후견인들이 이를 잘 이해한다면 – 연극무대는 정부나 통치자에 대한 국민들의 여론을 적지 않게 시정하도록 만들 것이다. 연극무대에서 입법권을 가지고 있는 자는 자신의 신민들의 저항이 거세지고 그들의 의심이 그들 자신을 사로잡는 일이 일어나기 이전에 이미 낯선 상징을 통해 그들에게 말을 걸고 그들의 탄원에 대해 해명한다. 만약 시인들이 애국자가 되려는 노력을 가치 있게 생각하고, 국가가 몸을 낮추어 시인들의 목소리를 듣고자 한다면, 심지어 산업이나 발명에 몰두하는 자들조차도 연극무대에 열광하게 될지도 모른다.

  훌륭한 상설극장이 국가의 정신에 끼치게 될 큰 영향에 대해 이 자리에서 언급하지 않을 수는 없다. 다른 나라라면 다른 의견을 가지거나 다르게 느꼈을 어떤 대상들에 대해 비슷하거나 일치되는 의견과 경향성을 가지는 것을 나는 한 민족의 국민정신이라 부른다. 오직 연극무대만이 이와 같은 일치를 높은 정도로 이루어낼 수 있는데, 왜냐하면 연극무대는 인간이 가진 지식의 영역 전체를 돌아다니면서 삶에서 벌어지는 모든 상황들을 남김없이 보여주고 마음 속 구석구석까지 전부 비추기 때문이며; 모든 지위나 계급을 통합시키며 오성과 심정으로 향하는 가장 넓은 길을 열어주기 때문이다. 만일 현존하는 모든 작품들에 하나의 특징이 지배적이었더라면, 우리나라의 시인들이 서로 합일되어 단단한 결속으로 이러한 최종적 목표를 달성하고자 했다면 – 엄격한 선택이 그들의 작업을 이끌고 그들의 펜이 오직 국민적인 대상들에만 헌신했다면, - 한마디로, 만일 우리가 하나의 국립극장을 가졌던 경험이 있었더라면, 그렇다면 우리도 역시 하나의 통일국가가 되었을 것이다. 그리스를 그렇게나 확고하게 결속하게 만들었던 것이 무엇이었던가? 그들의 연극무대에 그리스 민족을 그리도 거부하기 어렵게 끌어들였던 것이 무엇이었던가? - 작품 속에 있는 조국에 대한 내용, 즉 그리스의 정신 안에 숨쉬고 있던 국가와 더 나은 인간성에 대한 거대하고 압도적인 관심일 따름이다.

  무대를 치하할 공적 하나가 아직 남아 있다 – 이 공적은 무대가 그렇지 않아도 이미 흠을 잡으려는 자들과의 소송에서 이기게 될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더더욱 짚고 넘어가고 싶다. 무대가 윤리와 계몽에 본질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주장을 증명하기 위해 지금까지 시도되었던 것들은 회의적이지만 – 무대가 사회적 여흥을 위한 다른 모든 호사스러운 발명품들이나 모든 기관들에 비해 우위를 점한다는 것은 연극에 반대하는 적들 자신조차도 인정했던 사실이다. 그러나 이 때 무대가 성취하는 바는, 뭇 사람들이 쉽게들 생각하는 것보다 더욱 중요하다.

  인간의 본성은 생업을 이어가기 위한 끊임없는 고문을 견디지 못하며, 감각의 자극은 만족을 찾자마자 사그라든다. 동물적인 향락에 가득 차 있고, 오랜 긴장으로 지치고, 활동성에 대한 영원한 충동으로 고통 받은 인간은 더 나은 정선된 만족들에 목말라 있거나, 자신의 몰락을 가속화시키고 사회의 평화를 파괴하는 야만적인 오락에 고삐 풀린 채 빠져 타락한다. 입법자가 국민의 이러한 경향을 어떻게 조종해야 할지 모른다면, 방종함이 일으키는 수천의 광란과 썩어빠진 도박판, 술에 취한 무리들을 피할 수 없을 것이다. 직업에 종사하는 자는 고결한 마음으로 나라에 바친 자신의 삶을 불운한 피해망상으로 보상받고자 할 위험에 처하고 – 학자는 숨막히는 소인배로 – 하층민들은 동물로 타락할 위험에 처한다. 연극무대는 만족감과 가르침이, 휴식과 긴장이, 심심풀이가 교육과 결합된 기구이며, 정신의 힘들 중 어떤 것도 다른 힘을 침범할 정도로 긴장하지 않는 기구이자, 전체를 위해 만족을 그 대가로 지불하지 않는 기관이다. 원통함이 마음을 갉아먹을 때, 우중충한 기분이 고독의 시간을 오염시킬 때, 세상과 생업이 우리를 구역질나게 할 때, 수천의 부담감이 우리의 정신을 짓누르고 직업상의 업무들이 우리의 감수성을 질식시키기 일보직전에, 무대는 우리를 환영한다 – 우리는 이 예술적/인공적인 세계 안에서 꿈을 꾸며 현실 세계를 떠나고, 우리 자신을 다시 되찾고, 우리의 감각은 깨어나고, 잠들어 있던 우리의 본성과 충동은 유익한 열정에 동요하며, 피는 생생하게 끓어오른다. 이곳에서 불행한 사람은 다른 사람의 근심을 보고 울며 자기 자신의 근심을 해소하고 – 행복한 사람은 정신을 차리고 불안함을 모르는 자는 앞날을 대비한다. 감정적으로 유약한 남자는 사나이가 되고, 거칠고 포악한 인간은 이곳에서 처음으로 감정을 느끼기 시작한다. 그리고 마침내 – 각종 계층과 출신지역, 신분을 가진 사람들이 인공적이고 유행에 따르는 모든 사슬로부터 벗어나고 운명의 위협으로부터 떨어져 나와, 모두를 엮어내는 하나의 공감을 통해 형제가 된다면, 하나의 종적 존재로 다시 용해된다면, 자기 자신과 세상을 잊고 자신의 신적인 근원에 가까워진다면 – 그대에게는 얼마나 큰 승리인가, 본성이여! - 그렇게나 자주 바닥에 내던져지고, 그렇게나 자주 다시 일어섰던 본성이여! 각각의 개인은 수백 사람의 눈을 통해 강화되고 미화되어 다시 자기 자신에게 돌아오는 모든 이의 환희를 향유하며, 그의 가슴은 이제 오직 하나의 감정에만 자리를 내어준다 – 이는 바로: 하나의 인간이 되는 것이다.

 

 

---------

 

  * 강조는 원문을 따름

  근대중앙집권국가 체제를 서유럽에서는 비교적 늦게 달성했던 독일이라면 하나의 국민성을 달성하는 것이, 그리고 단일국가체제 안에서 국립극장이라는 이념에 부합하는 기관을 만들어내는 것이 당연히 중요했겠지. 하지만 중앙집권국가를 가져보지 못한 옛날사람이 국가에 거는 기대를 지켜볼 때면 심경이 복잡해지는 건 어쩔 수가 없다......

  이 부분에서 쉴러는 예술의 자율성을 잠깐 잊고 국가를 위한 통일적 정신 만들기에 희곡을 복속시키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또 마지막에서는 정신을 차리고 자신의 본령으로 돌아온다. 혹자는 국가의 시녀를 자처하는 저 태도를 쉴러의 "립서비스"라고 변호하기도 하지만, 어쨌든 발표자료를 이렇게 꾸리고 그걸로 글까지 발표한 한 쉴러를 도덕의 나팔수로 보는 평가를 딱히 틀렸다고 보기도 어렵겠다. 다만 직접적으로 도덕적인 내용만을 공연하자고 주장한 게 아니었다는 것, 연극의 작동방식에서 도덕적 의미를 이끌어낸 것에 가깝다는 정도로는 변호할 수 있을 것 같다. 그리고 이런 의미에서 1990년대 이후 일군의 독일 극작가들이 다시 '도덕적 기관'으로서의 연극을 쓰려고 시도한다면 그건 저 관용어를 크게 잘못 쓰고 있는 것도 아니고 오히려 적절하게 가져다 붙였다고 생각해도 좋을 듯 싶다. 과하게 일반화되어 마구 남용되는 관용어기는 하지만 또 내가 생각하는 만큼 도끼눈 뜨고 바라봐야 할 정도는 아니라는 게 이번 독서의 소득이라면 소득이겠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