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드하임은 뮤지컬신
지휘: 실뱅 캉브를랭 연출: 크리스토프 마르트할러 출연: 크리스티네 쉐퍼(비올레타), 요나스 카우프만(알프레도), 호세 반 담(제르몽) 코러스 연극을 무대장치/배경 또는 이미지와 함께 파다 보면 항상 나오는 이름들이 있다. 아이나 슐레프, 로버트 윌슨 등등. 마르트할러도 그 중 하나다. (마르탈러라고 써야 할지 마르트할러라고 써야할지 모르겠다.) 이름이 나오니까 이 사람이 연출한 작품은 어떤 모양인지는 봐야겠고, 안보면 직무유기같고. 그런데 드라마는 풀영상도 별로 없고 봐도 대사를 못알아들으니까 오페라로 대충 가늠만 해보자 하고 보기 시작했다. 연극어법과 오페라 어법이 다르긴 하지만, 아무튼 연극에서 하던 걸 오페라에서도 시도해보려고 하지 않았겠습니까. 근데 요나스카우프만이 나오는 줄은 몰랐지. 이렇게...
지휘: 다비드 레일랑 연출, 코레오그래피: 안성수 출연: 백재은(벡빅), 구태환(패티), 박기현(삼위일체 모세), 바네사 고이코엑사(제니), 미하엘 쾨니히(지미) 2019. 7. 11. 문장으로 이을 힘도 없어서 그냥 번호 붙여서 남들 다 하는 얘기만 하려 함.. 1. 브레히트 재미 없다. 브레히트가 드라마 작가로 왜 이렇게 추앙받는지도 잘 모르겠고. 몇 편 읽어봤지만 읽을 때마다 그 한 치 숨김도 없는 직설적 텍스트가 진짜 노잼이라는 생각만 들었다. 그게 그 때는 의미가 있었을수도 있겠지만 지금도 그럴까? 우리는 아직도 작품에 거리를 두고 바라보게 할 장치가 필요한가? 우리는 아직도 노동자 혁명을 믿고 있나? 혁명은 믿는다 치자. 적어도 시사하는 바는 있을 테니까. 아니 근데 낯설게하기 효과가 진짜로 ..
감독: 아리 에스터 오랜만에 정말 마음에 드는 영화를 봤다. 심야로 봐서 영화가 1시에 끝났는데, 그 흥겨움과 즐거움에 4시까지 잠들지 못했다. 이게 무슨 공포영화예요, 힐링물이지. 나는 요즘 코러스에 빠져 있다. 관심사가 그 쪽에만 가 있다는 뜻은 아니지만 어쨌든 읽고 보고 쓰는 것들이 전부 코러스다. 그것도 코러스가 자연스러운 요소인 음악극(오페라나 뮤지컬 등)에서의 코러스가 아니라 연극에서의 코러스를 공부하고 있다. 봐야할 게 너무 많아서 미쳐버릴 것 같다. 고대 그리스 비극부터 근대 고전주의 드라마와 20세기 초반 새로운 영향미학, 나치미학, 20세기 중후반의 포스트드라마, 그리고 포스트드라마의 한계를 지적한 21세기 초입의 새로운 조류까지 연극에서의 코러스는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되어 왔다. 포스..